linux5 [Oracle] 오라클 아카이브 로그 꽉참(archive log file system directory Full) Linux 혹은 Unix OS 접속 후 df -h/oracle//oraarch 100% 조치 방법 1. 아카이브 디렉토리 백업 및 삭제(경우에 따라 백업 생략 가능 및 삭제). cd /oracle//oraarchrm -rf 2. sqlplus 접속 및 로그 스위치 발생. su - orasidsqlplus / as sysdbaSQL> ALTER SYSTEM SWITCH LOGFILE;SQL> exit 3, 아카이브 디렉토리에 아카이브 생성 확인 cd /oracle//oraarchls -al 2번에서 진행한 로그 스위치 작업 시간과 일치하는 아카이브 파일 확인 가능. 4. 끝! 2024. 7. 27. [Linux/Unix] chmod chown 하위 디렉토리 권한 및 소유자 소유그룹 변경 방법 chmod -R 777 [파일 및 디렉토리]chown -R root:sys [파일 및 디렉토리] 리눅스, 유닉스 환경에서 권한 및 소유자 소유그룹을 하위 디렉토리에 한번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. 2024. 7. 23. [리눅스(Linux)] 심볼릭 링크 변경(재설정) 방법 ln -Tfs [타겟파일(실제파일)] [심볼릭링크파일(연결용가짜(?)파일)] IT 화이팅! 2024. 7. 23. vi / vim 단축기 모음 2023. 10. 12. [Linux] SUSE Linux 15에서 포트 OPEN 방법 SUSE Linux 15에서 포트를 열려면 firewall-cmd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단일 포트 열기아래의 예제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포트 80을 열어주는 명령어입니다. sudo firewall-cmd --zone=public --add-port=80/tcp --permanent 위 명령어에서 --zone은 방화벽 정책을 적용할 존을 설정하며, --add-port는 포트를 추가하라는 옵션입니다. --permanent 옵션을 사용하면, 설정이 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.여러 포트 동시에 열기다수의 포트를 열고 싶을 때는,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 sudo firewall-cmd --zone=public --add-port=80-85/tcp --permanent 위 명령어에서 80-85/.. 2023. 3. 7. 이전 1 다음